제목 | [목조 건축물 착공 통계] | 2016.12.01 (4736Hit) |
2016년이 1개월 정도 남은 시점에서
올 한해 목조건축물(한옥 포함)의 착동은 어떠했는지를
통계자료로 알아보았습니다.
국토교통부 통계누리 자료를 토대로
정말 간단한 그래프로 작성된 내용입니다.
올해 1월부터 통계자료가 수집된 10월까지의
월별 목조건축물 착공 동수는 아래와 같습니다.
작년인 2015년과 비교했을때 어떠했는지를 알아보았습니다.
동일 기간(1월 ~ 10월)을 기준으로 착공동수를 합산해볼 결과,
아래와 같이 작년에 비해 1,121동 정도의 차이를 보인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다음으로 월별로 2015년과 2016년도의 목조건축물
착공동수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전반적으로 올해 착공동수가 작년에 비해 높았으나,
6월과 10월에는 2015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습니다.
아래 내용은
국내 건축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철근및철골조 건축물의 착공 동수입니다.
2016년에는 2015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전체 합계로 보았을때,
2015년 1월~10월까지 166,806동,
2016년 1월~10월까지 169,513동으로 목조건축물에 비해
비율적으로 2015년과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습니다.
다음으로 월별 조적조 건축물의 착공 동수입니다.
국토교통부 통계누리 자료에는
4가지 구분으로 통계자료가 작성됩니다.
철근및철골조, 조적조, 목조, 기타입니다.
그래서 목조와 자주 비교되는 것 같습니다.
조적조의 건축물 착공 동수는
아래와 같이 2016년의 경우,
2015년도에 비해 확연하게 낮아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2016년도 기준으로
조적조와 목조의 건축물 착공동수를 아래와 같이 비교해보았습니다.
수치적인 것을 보지않아도 확연한 차이를 볼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목조에 비해 착공동수가
확연히 작은 조적조의 경우,
소규모 건축물 구조기준이 반영되어 있지만,
목조 건축물의 소규모 건축물 구조기준이
아직까지 반영되지 않은 것이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추가적으로 2015년도와 2016년도의
동일 기간(1월~10월)의 합계를 살펴보았습니다.
목조와 조적조 건축물의 경우,
2015년도에는 1,667동의 차이를 보였지만,
2016년도에는 3,872동으로 약 2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습니다.
위의 자료는 (사)한국목조건축협회에서
그래프를 작성하고,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공유해가거나 퍼가실때는 출처를 꼭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일반자료] 목조건축의 허가 및 착공 추이(2010~2015년) |
다음글 | [기준] 소규모건축구조기준-목구조 자료 |